1. 개발자 모드 활성화
자신이 가진 스마트폰의 설정에 들어갑니다. 메뉴 중 휴대전화 정보를 찾아서 클릭, 소프트웨어 정보에 들어가서 빌드번호가 나옵니다. 빌드번호를 연속으로 7번 눌러줍니다. 창이 바뀌면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창이 나옵니다. 여기서 자신의 스마트폰의 패턴을 입력하든지, 지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그러면 개발자 모드가 활성화된다는 팝업이 뜹니다. 뒤로 가기 버튼을 눌러 설정으로 빠져나갑니다. 그리고 메뉴를 쭉 내려서 개발자옵션이라는 메뉴가 생긴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4xMSAA 강제사용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수 제한 설정
개발자 모드를 클릭하여 들어가면 하드웨어 가속 렌더링이라는 메뉴 안의 밑으로 조금만 내리면 4xMSAA 강제 사용을 눌러 활성화시켜줍니다. 조금만 더 내려가 보면 앱이라는 메뉴에서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수 제한이라는 메뉴가 보입니다. 눌러보면 창이 하나 뜨고, 거기서 최대 4개 프로레스를 눌러줍니다. 이 두 가지는 게임이나 사진을 좀 더 빠르게 보여주는 설정입니다. 스마트폰의 성능을 최대로 끌어올려 사용해서 화질이나 속도를 높여주지만, 그만큼 배터리 소모량은 늘어나겠죠?
3. 로거 버퍼 크기 애니메이션 배율 설정
설정 메뉴 중 디버깅이라는 항목에서 로거 버퍼 크기 메뉴가 보이실겁니다. 눌러서 들어가면 로그 버퍼당 로거 크기 선택창이 뜰 겁니다. 거기서 제일 밑에 16M을 선택해줍니다. 인터넷 속도를 빠르게 해서 사진이나 GIF를 볼 때 확실히 달라진 걸 알 수 있을 겁니다. 다시 설정을 조금 더 내려주시면, 창 애니메이션, 전환 애니메이션, 애니메이터 길이 항목이 보일 겁니다. 이 3가지 설정은 초기값 1X로 설정이 되어 있을 겁니다. 값을 높여주면 화면 전환되는 속도가 현저히 느려지는 걸 보실 수 있을 겁니다. 그래서 이 3가지 설정은 사용 안 함을 눌러서 설정해줍니다.
위에 3가지 설정만으로도 핸드폰속도가 굉장히 빨라진 걸 느낄 수 있을 겁니다. 저도 위와 같은 설정으로 바꿔서 생활하고 있는데 굉장히 만족하고 있습니다. 모르면 그냥 느리다고 불평을 하지만, 위와 같이 쉬운 내용을 알고만 있어도 생활에 큰 꿀팁이 될 수 있습니다. 모두 스마트한 생활 하시기 바랍니다.
댓글